K-ESG 가이드라인('21.12.01. 관계부처 합동)
기업 스스로 ESG경영 도입에 가이드로 활용
산업 전반에 적용가능한 범용적 구성
4개 영역, 27개 범주, 61개 진단항목
엄종별·기업규모별 가이드 '22년 부터 마련
ESG는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약자로, 기업 경영 활동을 환경 경영, 사회적 책임, 건전하고 투명한 지배구조에 초점을 둔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을 달성하기 위한 기업 경영의 3가지 핵심요소를 의미
지속가능성은 '현재 세대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미래 세대가 사용할 경제·사회·환경 등의 자원을 낭비하거나 여건을 저하시키지 아니하고 서로 조화와 균형을 이루는 것'으로 정의(「지속가능발전법」 2020.5.26. 제정)
최근 ESG는 전 세계적인 트랜드로 확산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소비자, 투자자, 정부 등 모든 사회구성원의 관심이 고조되면서 선택이 아닌 기업의 생존과 성장의 핵심적인 요소로 부상
기업 스스로 ESG경영 도입에 가이드로 활용
산업 전반에 적용가능한 범용적 구성
4개 영역, 27개 범주, 61개 진단항목
엄종별·기업규모별 가이드 '22년 부터 마련
환경 | 환경경영 목표 |
---|---|
원부자재 | |
온실가스 | |
에너지 | |
용수 | |
폐기물 | |
오염물질 | |
환경 법/규제 위반 | |
환경라벨링 | |
사회 | 목표 수립 및 공시 |
노동 | |
다양성 및 양성평등 | |
산업안전 | |
인권 | |
동반성장 | |
지역사회 | |
정보보호 | |
사회 법/규제 위반 | |
지배 구조 | 이사회 구성 |
이사회 활동 | |
주주권리 | |
윤리경영 | |
감사기구 | |
지배구조 법/규제 위반 | |
정보공시 | 정보공시 형식 |
정보공시 내용 | |
정보공시 검증 |